이어서 두 번째 주제입니다. <br /> <br />'역대 최고' 찍은 월세…전세 상승 압력 커졌다 <br /> <br />지난달 월세가 얼마나 올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KB부동산 통계를 기준으로 하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 지수는 한 달 전인 8월보다 1포인트 올라 117.1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월세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어 매매나 전세 등 다른 거래 형태와 비교하며 추이를 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KB부동산 통계 지수를 보면,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올해 1월과 비교해 1.99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월세가는 4.43%로 이보다 더 크게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월세가 지수는 KB부동산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12월 이후로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문제는 월셋값이 앞으로 더 뛸 소지가 있다는 건데요, <br /> <br />서울에서는 초고가 월세도 나왔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무려 2천만 원이 넘는 월세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의 2천만 원 이상 월세는 무려 13건입니다. <br /> <br />월세가 상승세는 아파트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단독주택이나 빌라 월세가도 강세인데요, <br /> <br />서울과 수도권은 이미 매매가가 많이 올라 집을 사기 쉽지 않은 데다, 대출 규제로 목돈 마련이 부담스러워 앞으로도 전세보다는 월세로 수요가 이동할 소지가 큽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전세금 일부를 월세로 바꾸는 전월세 전환율이 금리보다 높은 점도 월세 상승의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전세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실 월세 가격은 기본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오르기 마련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월세가 상승은 대체 수요인 전세가가 함께 오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 R114 리서치팀장 : 최근 1∼2년은 월세가 급등하면서 전셋값을 밀어 올렸고 전셋값이 또 급등하면서 그게 또 월세로 이전되는 속도가 빨라지는 형태가 됐기 때문에 (월·전세가)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밀어 올리는 효과가 있겠다고 볼 수 있고요.] <br /> <br />대출 규제로 매매가 상승세가 주춤해지면서 월세 수요와 가격이 오르고, 그 풍선효과로 전세가가 오를 수 있다는 건데요, <br /> <br />전세가는 거래량이나 분양가와 함께 매매가의 선행 지표가 되는 만큼,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가 상승 압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0817205903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